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987년 6월 항쟁: 민주화를 향한 국민의 운동

by 프라이1 2023. 6. 6.
반응형

6월 항쟁 민주화 운동

1987년 6월은 대한민국에서 반독재와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로 불리는 6월 항쟁이 일어난 시기입니다. 이 항쟁은 1987년 6월 10일부터 29일까지 전국에서 전개되었으며, 전두환 정권에 대한 저항과 민주체제의 구축을 목표로 많은 국민들이 힘을 모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6월 항쟁의 배경, 주요 사건, 그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배경

6월 항쟁은 전두환 대통령이 군사정권을 유지하며 민주화 요구에 강경 대응하는 상황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79년 12.12 사태 이후 대한민국은 전두환 대통령의 독재 정권 아래 있었으며, 민주체제와 인권을 요구하는 운동은 탄압을 받아왔습니다.

 

주요 사건

6월 항쟁의 시작은 박종철 학생의 사망 사건을 계기로 하였습니다. 박종철은 1987년 1월 치안본부 대공수사단에 연행돼 조사 중 사망한 사건이었습니다. 이에 대한 거리시위가 일어나고, 이를 계기로 학계, 문화계, 종교계 등의 각계각층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성명이 나오며 항쟁 열기가 고조되었습니다.

6월 항쟁은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의 결성과 비폭력투쟁의 선언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에 참여한 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 사건과 호헌조치 반대를 위한 대회를 전국에서 동시에 개최하여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와 동시에 노태우 대표위원의 대통령 후보 선출과 국민들의 저항은 전두환 정권에 대한 항거를 가속화시켰습니다.

 

반응형

 

영향

6월 항쟁은 대한민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항쟁을 통해 사회 각 영역에서의 변화와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민주화를 향한 국민의 열망과 저항은 전두환 정권에 큰 압력을 가하였고, 결국 6월 29일에는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평화적 정부이양의 실현, 자유로운 출마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대통령 선거법 개정을 포함한 '6.29 선언'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항쟁은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많은 국민들이 시민적 참여와 민주주의적인 사회 구조에 대한 이해를 넓혀갔고, 민주화를 위한 노력과 희생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망사건

이한열은 연세대 학생으로, 1987년 6월 9일 시위 과정에서 머리에 박힌 최루탄 파편으로 사경을 입게 되었습니다. 이한열의 사건은 민주화 투쟁의 한 부분으로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습니다. 이한열의 부상은 항쟁의 분노와 저항의 열기를 더욱 고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민주화와 인권을 더욱 강력하게 요구하고 전두환 정권에 대한 저항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이한열 학생의 사건은 6월 항쟁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기억되어야 합니다.

 

민주화와 인권의 이정표역할

6월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인권을 향한 중요한 이정표였습니다. 국민들은 용기를 내어 목소리를 높이며 사회의 불공정과 불평등에 도전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통해 민주화와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우리는 6월 항쟁을 통해 보여준 시민들의 힘과 희생을 기리며, 이어오던 노력을 계속해서 이어나가야 한다는 의지를 다짐해야 합니다. 6월 항쟁은 우리에게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희망과 열정을 준 선례입니다.

 

1987년 당시 이한열 학생의 시위 도중 사망사건을 기억하며 현수막에 "한열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말자"라고 쓰여있으며 사람들이 그 현수막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이한열 학생의 희생을 기억하며 행진하는 6월항쟁

현충일: 추모와 감사의 날, 그 유래와 의미

 

현충일: 추모와 감사의 날, 그 유래와 의미

현충일은 매년 6월 6일, 우리나라에서 전쟁으로 목숨을 잃은 국군 장병과 독립운동가, 민간인 등을 추모하고 감사하는 날입니다. 현충일은 그 유래와 의미가 깊고 중요한 날이기 때문에 이에 대

prayday0.tistory.com

 

 

반응형

댓글